안녕하세요. 아신또입니다.
오늘은 평소 자주 가는 천안의 병천 순대거리를 방문하였기에 순대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순대는 소나 돼지의 창자 손에 여러 가지 재료를 소로 넣어 삶거나 쪄서 익힌 음식입니다.
순대의 시작은 '제민요술'이라는 기록되어 있습니다. '제민요술'에는 양의 피와 양고기 등을 다른 재료와 함께 양의 창자에 채워 넣어 삶아 먹는 방법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이런 점들로 우리나라에서 순대를 일찍부터 먹어왔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조선시대의 고조리서의 기록 중 '규합총서'에 쇠창자찜, '시의전서'에 어교순대와 도야지순대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쇠창자찜은 소의 창자에 여러 재료를 이용한 소를 넣고 창자의 양끝을 실로 매어 쪄서 익히는 음식이고, 어교순대는 민어 부레에 소를 넣어 익히는 것이며 도야지 순대는 지금의 순대처럼 돼지 창자에 돼지피, 숙주, 미나리, 무, 두부, 배추김치를 넣어 익히는 음식입니다.
위의 내용처럼 순대는 지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변화되어 있습니다.
쇠창자찜, 여교순대, 도야지순대를 제외하고도 함경도 지방의 특산물이었던 명태로 만든 명태순대가 있고, 강원도 지역의 오징어순대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아주 오래전부터 우리의 선조들은 각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여러 순대를 만들어왔습니다.
순대는 맛도 맛있지만 맛만큼 놀라운 효능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빈혈개선 : 순대 속 돼지 피는 선지와 간을 비롯한 내장에는 흡수하기 쉬운 철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빈형이나 어지럼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독성해소 : 돼지의 내장은 인체 내부에 있는 독소를 제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동의보감에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독소 제거 효능을 몇 배로 상승시키는 재료가 바로 새우젓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일부 지역에서는 순대와 함께 새우젓을 먹는다고 합니다.
3. 혈압조절 : 순대 안에는 당면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찹쌀순대에는 가장 많이 들어있는 이 당면은 주 성분이 고구마 전분으로 마그네슘을 함유되어 있어 혈압을 적당하게 조절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4. 눈 건강 : 순대의 주재료 선지에는 비타민A를 대량을 함유하고 있고 이는 안구건조증, 백내장 등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5. 숙취해소 : 숙취해소는 순대와 같이 나오는 간과 같이 나오는 부속물의 효능입니다. 비타민B를 함유되어 있어 음주 후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며 간의 기능을 높여주는 효능도 있다고 합니다.
순대의 종류가 다양하지만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가장 맛있다고 생각하는 순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천안 병천순대 :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에 위치한 병천순대거리에는 병천 순대 전문점들이 모여있습니다. 이 거리는 1960년대 병천면 인근에 돈육가공공장이 생기면서 주민들이 공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순대를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 병천순대를 판매하는 전문점이 10곳 정도였지만 지금은 천안의 명소가 된 만큼 수십 곳으로 증가하여 병천순대거리가 탄생했습니다. 병천순대는 돼지 창자 중 가장 가늘고 부드러운 소창을 여러 번 겹친 다음 여러 재료의 소로 속을 채우는 음식입니다. 이렇게 요리를 하면 돼지 특유의 누린 냄새가 안나며 담백한 맛과 부드러운 식감을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병천순대는 순대 그대로 먹어도 맛있지만 돼지 뼈를 우린 국물로 만든 순댓국으로 먹는 것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속초 아바이순대 : 강원도 속초 아바이마을의 명물 아바이 순대, 이 순대의 이름은 평안도와 함경도 일대에서 할아버지 또는 아버지를 부를 때 쓰는 방언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아바이마을은 한국전쟁 당시 피난을 내려온 함경도 주민들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정착한 마을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순대의 이름은 예전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돼지의 부속물도 귀한 재료로써 가부장사회의 가장으로 아버지들만 먹던 음식이라서 아바이 순대라고 지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바이 순대는 다른 순대들과는 달리 대창을 사용합니다. 또한 선지를 적게 쓰고 찹쌀을 많이 넣으며 당면은 상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또 신기한 점은 돼지의 머리고기를 곱게 갈아 볶은 후 소에 섞는다고 합니다.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 케첩의 유례, 칼로리, 활용법, 브랜드 (2) | 2023.04.22 |
---|---|
익산농협 생크림찹쌀떡의 구입처, 맛, 가격 (2) | 2023.04.21 |
과속방지턱 (2) | 2023.04.09 |
비가 오는 날엔 부침개 (2) | 2023.04.06 |
파전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한국 전통 음식입니다. (1) | 2023.03.28 |
댓글